한국산업경제연구원

본문 바로가기

ISO22000

HOME ISO(시스템인증) ISO22000

ISO22000(식품안전경영시스템) 도입배경

식품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로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수준이 급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식품안전관리 국제규격 또한 ‘농장에서 식탁까지’라고 표현하듯 식품공급사슬 전반에 대한 관리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ISO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은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품위해요소를 사전에 예방ㆍ관리하는 자율적인 식품안전관리시스템입니다. 기업은 이러한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실행을 통해 법규 및 소비자의 기대수준을 충족시키고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ISO22000(식품안전경영시스템) 인증이란?

ISO22000은 식품공급사슬 내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적용할 수 있는 국제규격입니다. 식품공급사슬 전반에 걸친 식품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요소로 상호의사소통, 시스템 경영, 선행요건 프로그램(PRP’s) 및 HACCP 원칙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ISO22000은 ISO9001 품질경영시스템을 바탕으로 HACCP의 7원칙과 12절차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두 시스템의 통합을 통해 조직은 식품안전 보장과 지속적인 성과 개선이라는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ISO22000의 요건 개요

4. 조직의 상황

4.1 조직과 조직 상황의 이해
4.2 이해 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이해
4.3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4.4 식품안전경영시스템

5. 리더십과 근로자 참여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5.2 방침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6. 기획

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6.2 식품안전경영시스템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획

7. 지원

7.1 자원
7.2 역량/적격성
7.3 인식
7.4 의사소통
7.5 문서화된 정보

8. 운용

8.1 운용기획 및 관리
8.2 선행요건프로그램(PRPs)
8.3 추적성 시스템
8.4 비상시 대비 및 대응
8.5 위해요소 관리
8.6 PRPs와 위해요소 관리 계획을 규정하는 정보 갱신
8.7 모니터링 및 측정의 관리
8.8 PRPs 및 위해요소 관리 계획과 관련된 검증
8.9 제품 및 프로세스의 부적합 관리

9. 성과평가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9.2 내부심사
9.3 경영검토

10. 개선

10.1 부적합 및 시정조치
10.2 지속적 개선
10.3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갱신

인증절차

인증혜택


  • 식품안전관리수준 향상
  • 관계법규에 따른 시스템의 준수로 신뢰감 형성
  • 위생관리시스템 효율성 극대화
  • 공급 체인과 원활한 의사소통
  • 무역규제에 의한 진입제한 해결
  • 종업원의 책임의식 향상 및 회사 이미지 제고